반응형
넥사크로 로그 출력 방법 (2가지)
1. trace() 사용 (넥사크로 Debug Console 출력)
trace("디버깅 메시지 출력");
- 넥사크로 자체 콘솔에서만 확인 가능 (브라우저 콘솔 X)
- 문자열만 출력 가능 (JSON.stringify()로 객체 변환 가능)
반응형
2. console.log() 사용 (브라우저 개발자 도구 콘솔 출력)
console.log("디버깅 메시지 출력");
- 브라우저에서 실행할 때만 사용 가능 (Standalone 실행 시 X)
- 객체 출력 가능 (console.log(obj))
✅ 정리:
로그 출력: trace() (넥사크로 콘솔), console.log() (브라우저 콘솔)
반응형
'IT & 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IT] 1년차 개발자 연봉, 얼마나 받을까? (0) | 2025.02.06 |
---|---|
[리액트] React 기초 가이드: 처음 시작하는 방법과 예제 코드 (0) | 2025.02.06 |
[DB] 오라클 TNS 접속 개념 및 관련 오류해결 (0) | 2025.02.05 |
[IT] 개발자 연봉 1억 달성은 언제 가능? (2) | 2025.01.28 |
[IBM DB2] DB2 에서 MERGE 문 사용하기 (0) | 2025.01.27 |